본문 바로가기

M-media/WEB Dedign

WordPress, Drupal 그리고 Joomla 비교

내가 CMS(Content Management System)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웹보드(Web Board)에 처음으로 관심을 가지고 홈페이지에 접목해본건 거의 15년쯤전에 Perl 로 만들어진 김충곤님의 CrazyBoard 부터입니다.

당시에는 데이타베이스를 사용한 회원제 홈페이지를 구현하려면 정말 힘들었는데 2메가정도의 웹공간을 월 2만원 정도에 데이콤에서 호스팅하여 ppp 로 인터넷으로 접속하여 힘들게 운영했던 적이 있었습니다(당시 유일한 호스팅업체였죠..^^)

세월이 흐르면서 웹저작분야가 정말 많이 발전했네요. 오늘 건드려보려는 이 모든것들이 모두 공짜로 누구나 정말 쉽게 한방에 사용할 수 있다니 말이죠.

나는 크레이지보드 이후, Jboard, phpBB, Wayboard 등 웹에 떠도는 많은 종류의 게시판형태의 프로그램(웹보드)들을 사용해 봤고 10여년쯤 전부터 제로보드,그누보드등과 몇몇 외국계 포럼 프로그램들을 홈에 설치하여 사용해 봤습니다.

그 후 XE 가 나오면서 거의 2,3년정도에 XE 를 사용한 홈을 100여개 정도 제작한 경험이 있고, 2,3개월 전부터 워드프레스를 사용해보고있습니다.

워드프레스는 수년전부터 익히 알고있던 CMS 툴이지만 국내에서는 익숙한 게시판 기능이 없기때문에, 그리고 관리메뉴들이 영어로 되어있어서 클라이언트측에서 꺼리는 경향이 많아 거의 관심을 두지 않았습니다.

서설이 길었네요

몇개월 사용해본 워드프레스와 외국에서는 이미 널리 알려진 Drupal, Joomla, WordPress 간단히 비교해 보면 아래그림과 같습니다

이 3가지를 주 유저층으로 분석해 보면

워드프레스->줌라->드루팔 순으로, 클라이언트지향->개발자지향이라 보면 제일 간단하게 정의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즉, 워드프레스는 자기가 직접 홈페이지를 만들어 직접 운용하고자하는층이 많이 사용하고있고 (가장 사용하기가 쉽고 따라서당연히 가장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고있습니다), 줌라->드루팔로 갈수록 개발자 지향으로 개발되어있어 고급 개발자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워드프레스는 블로그중심, 줌라->드루팔은 웹사이트중심으로 개발되어있어, 워드프레스가 개인, 혹은 블로그로 운영하고자 하는 개인, 소규모 유저층이 많은 반면, 줌라->드루팔은 좀 더 정적이며 대형인 상업용 비지니스 사이트를 만들고자 하는 유저층에서 많이 선호한다고합니다.

아래 표에서 보듯이 개발비용도 워드프레스->줌라->드루팔 순으로 차이가 나는군요. 그런데도 큰 비용 혹은 개발노력을 지출해가며 줌라, 드루팔을 선호하는데에는 그만큼의 이유가 있을듯 한데요. 아직은 잘 모르겠습니다. 그냥 개발하기가 힘드니까 돈 많이주세요 하는것은 아닐텐데 말입니다.

이런 관점에서 국내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XE 를 보면, 주된 특징으로 커뮤니티중심의 게시판을 메인모듈로 사용하고 있어 외국계 CMS툴들과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사실 국내에서  외국계 메이저 CMS 들을 많이 사용하지 않고 있는 이유중 가장 큰 이유가 이 게시판 (Bulletin Board)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하지만 이 게시판 기능을 뺀다면 개발자 혹은 직접사용자측면에서 보아 워드프레스나 줌라 등과 비교해 볼때 레이아웃(템플릿)이나 애드온,위젯 등이 턱없이 부족한 상태입니다. 게다가 외국계 CMS 에선 거의 무료로 배포되고 있는 수준의 플러그인이나 테마들까지 유료화하기에만 급급해 보이는 현실도 보이는것 같아 착찹하기까지 심정입니다.

워드프레스 등 외국계 CMS 들은 일단 설치만 되면 수만개의 무료 플러그인과 테마들이 널려있어서 큰 불편함없이 무료 플러그인들을 원하는대로 찾아서 설치해 사용할 수 가 있고, 특별히 HTML 이나 CSS, PHP 를 다룰줄 몰라도 어느정도의 원하는 형태와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는 반면, XE 의 경우에는 원하는 형태의 레이아웃(워드프레스의 테마)을 적용하려면 기존에 나와있는 레이아웃이 몇 안되어 대부분 직접 만들어 사용해야하는 실정입니다.

XE의 개발 난이도를 본다면 워드프레스와  줌라의 중간정도쯤 되겠네요

암튼 지금까지는제  짧은 사견이었고 좀 더 심도있게 공부해 본 후 다시 추가하여 올리겠습니다

아래의 표는 클라이언트 측면에서본 3가지 메이저 CMS 에 대한 비교표입니다

 

 

출처 : http://sexylife.co.kr/archives/1025?ckattempt=1